CBT 전기 기능사 필기 공부법, 시험 방식까지
안녕하세요! 오늘은 cbt 전기 기능사 필기 공부법과, 시험은 어떤 방식으로 시행되는지 살펴볼 예정입니다. 다가오는 전기 기능사 시험을 준비하신다면 꼭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

전기기능사란?
전기로 인한 재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자격을 갖춘 사람으로서 전기기기를 제작, 제조, 조작, 보수, 운전 등을 담당하기 위해 자격 제도가 제정되었는데요.
전기에 필요한 장비 및 공구를 사용하여 회전기, 제어장치, 정지기 또는 공장, 주택, 빌딩, 전기기계 및 기구를 설치, 보수, 검사, 시험 및 관리하는 일을 담당합니다.
시험 과목 및 검정 방법
시험 방법 | 시험 과목 | 시험 출제 형태 | 시험 시간 |
필기(CBT) | – 전기이론 – 전기기기 – 전기설비 | 객관식 4지 택일형 60문항 | 1시간 |
실기 | 전기설비작업 | 작업형 | 4시간 30분 |

CBT 시험 방식
CBT 시험 방식은 컴퓨터를 이용해 시험에 응시하는 방식으로, OMR 카드를 활용하여 진행되던 PBT 시험 방식과 달리 문제 확인, 정답 입력 및 성적 처리까지 모두 컴퓨터를 통해 이루어지는 방식입니다.
구분 | CBT | PBT |
출제 방식 | – 문제은행 방식으로 출제 – 응시자별 문제가 모두 다름 | – 출제자의 문제 제작 및 출제 – 모두 동일한 문제 출제, 순서만 다름 (A형/B형) |
시험 방식 | – 컴퓨터 화면을 통해 문제 확인 – 클릭으로 정답 입력 – 클릭을 통해 곧바로 수정 가능 | – 종이 문제지를 통해 문제 확인 – OMR 카드 마킹으로 답안 기재 – OMR 카드 교체하여 다시 기입 |
합격 확인 | 시험 직후 결과 및 합격 여부 확인 가능 | 시험 이후 일정 기간 소요 |

필기 과목별 공부법
① 전기이론
전기에 관련된 학문이나 산업 현장에 대한 내용을 폭 넓게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과목입니다.
다만, 내용에 관한 증명이나 이해가 쉽지 않기에 결과에 해당하는 공식 위주로 문제 유형을 파악하고 적용하는 연습이 필요합니다.
신규 문제는 2~3문제 출제되고, 나머지는 기존 기출문제에서 출제되므로 수업과 병행하여 교재를 착실히 활용한다면 합격에 필요한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② 전기기기
“선 암기, 후 이해!”
개념 숙지와 더불어 계산도 할 수 있어야 하는 과목입니다. 생소한 용어에 너무 궁금해 하지 말고, 계산 문제에 너무 집착하지도 말아야 합니다.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흐름이 중요하므로, 한번에 끝내는 정독이 아닌 다독을 해야 합니다.
합격에 필요한 점수는 60점이므로, 수업/교재에서 강조하는 것만 암기하고 정리만 해도 합격은 충분한 과목입니다.
③ 전기설비
한국전기설비규정(KEC)와 공사재료의 필요성 및 특성을 이해하고 현장 설비 운영 및 시공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열심히 정리하고 암기한다면 충분히 고득점이 가능한 과목입니다.
내용이 변경되어 새로 도입된 부분의 경우, 출제 경향이 반영된 교재와 수업을 바탕으로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기초부터 꼼꼼하게! 기초 특강 3종 무료제공 인강 보러 가기 ▼

답글 남기기